"새로운" 무의식

정신분석에서 뇌과학으로

 

레오나르드 믈로디노프 지음
김명남 옮김
까치 펴냄

 

 

2014. 9. 9.

프로이트에 의해 시작된 정신분석학은 과학이라고 부르기에 부족한 부분이 많았다. 하지만 fMRI 같은 뇌 활동 관측 기술이 개발되면서 정신분석학은 객관적 실험을 기반으로 하는 진짜 과학으로 발전하게 됐다. 이것이 뇌과학, 실험심리학, 인지과학 등으로 불리는 영역이다.

 

우리의 뇌는 아름답게 설계됐다기 보다는 상황에 맞춰 누덕누덕 개선되는 방식으로 진화했다. 인간은 한계가 많은 인식체계를 갖고 있다. 무의식은 두뇌활동의 90% 이상을 점유하면서 우리가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우리의 부족한 부분을 메워준다. 예를 들어 인간의 시각과 청각은 완전무결과는 거리가 먼 감각이지만 무의식의 보정 덕분에 생존에 충분한 정도의 정보를 만들어 낸다.

 

하지만 무의식의 단순한 정보 처리 방식은 잘못된 범주화의 오류를 만들어낸다. 우리는 의식적 사고를 통해 이런 편향을 극복할 수 있다. 무의식과 의식에 대한 설명이 "생각에 관한 생각 (대니얼 카너먼)"에서 소개한 시스템1, 시스템2와 닮았다고 느꼈다.

 

저자의 유머 섞인 설명이 좋았다. 저자는 물리학자로서 뇌과학 분야의 전문가들의 도움을 받아 이 책을 썼다고 한다. 번역도 좋았다 (번역 별4 ★★★★).

 

 

2022. 6. 6.

뇌과학 분야의 여러 실험들을 소개한다. 읽었던 책인데, 마치 처음 보는 것처럼 신선하고 재밌었다. 기억보다 진지한 책이었다.

 

 

 

Posted by ingee
,

사실보다 거짓에 좌지우지되는 세상 속 설득의 심리학

뇌는 팩트에 끌리지 않는다

 

리 하틀리 카터 지음
이영래 옮김
비즈니스북스 펴냄

 

상대방에게 내 메시지를 전달하는 실용적인 방법을 안내한다. 제목만 보고 뇌과학 분야의 책일 줄 알았는데 자기 계발 실용서였다.

신뢰에 관한 설명이 좋았다. 요즘 논어를 다시 읽고 있다. 의외의 곳에서 논어 속 信(신) 개념에 대한 좋은 설명을 얻었다.

신뢰는 쉬운 예측 가능성에 대한 문제이다. 신뢰를 무너뜨리는 것은 당신이 사람들의 생각 속에 만들어놓은 기대를 충족시키는 데 실패하는 것이다.

 

번역 좋았다 (번역 별 3.5 ★★★☆).

 

 

Posted by ingee
,

간편하게 익히고 두고두고 들춰보는

주역 입문 강의

한 권으로 읽는 『주역』의 모든 것

 

고은주 지음
우응순 감수
북튜브 펴냄

 

정성스럽게 지은 좋은 책이다. 이론편과 실전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론편은 주역이 무엇인지 설명하고 있고, 실전편은 64괘의 괘사와 효사를 빠짐없이 싣고 있다. 책 제목처럼 두고두고 자주 들춰보게 된다.

올해 2월 휴가 때 저자가 직접 강의하는 하루 세미나를 들었다. 정말 열정적으로 쉽고 자세하게 끌어주셨다. 네이버 카페 "인문학당 상우"에 가끔 뜨는 세미나 공고를 보고 참여했다. 좋은 경험이었다.

 

Posted by ingee
,

순간접속의 시대에 책을 읽는다는 것

다시, 책으로

Reader, Come Home

 

매리언 울프 지음
전병근 옮김
어크로스 펴냄

 

"친애하는 독자께"로 시작하는 존댓말 서간체의 느낌이 좋았다. 상냥한 9통의 편지를 읽고 나면 책이 끝난다. 저자는 디지털 매체로 인해 깊이 읽기 경험을 상실하고 있는 인류에게 진심을 담아 호소한다. "독서가들이여, 다시 책으로 돌아 오세요."

 

한 사회의 좋은 독자들은 구성원에게 위험을 알려주는 카나리아이자 인간성의 수호자입니다. ... 읽는 삶은 정보를 지식으로, 지식을 지혜로 바꿔주는 것입니다. ... 우리가 지닌 최고의 지적 능력과 공감 능력을, 덕성을 위한 능력과 결합하는 것 ... 이런 능력들이 위험에 처하면 우리 모두가 위험해집니다.

번역 좋았다 (번역 별 3.5 ★★★☆).

 

 

Posted by ingee
,

어쩐지 미술에서 뇌과학이 보인다

환원주의의 매혹과 두 문화의 만남

Reductionism in Art and Brain Science

 

에릭 캔델 지음
이한음 옮김
프시케의숲 펴냄

 

칸트의 『판단력 비판』을 읽는 중이다.
『판단력 비판』은 미학, 그러니까 아름다움과 숭고함에 대한 이야기다. 칸트는 아름다움이라는 판단이 보편성을 갖는지 묻는다. "누군가 어떤 대상을 아름답다고 느낀다면 그 판단은 필연일까?", 다시 말해 "그 아름다움에 대한 판단을 다른 사람에게도 요구할 수 있을까?"를 묻는다.
우연히 만난 이 책을 통해 칸트의 질문을 인지과학적 관점에서 생각해 볼 수 있었다.

소제목 '환원주의의 매혹과 두 문화의 만남'에서 언급되는 환원주의는 전체를 작은 부분으로 나누어 연구하는 방식이다. 과학에서 성공한 방식이다.

사진의 발명으로 인해 더 이상 사물의 구체적인 묘사로는 존재 의미를 찾을 수 없게 된 미술가들은 이 환원주의를 받아들여 추상화 분야를 개척한다. 추상 미술가들은 전체 이미지를 해체한 뒤 극도로 단순화시킨 핵심만 전달하려 했다. 작가가 해체한 이미지를 접한 감상자는 자신의 경험과 기억을 동원해서 해석을 창조한다.

추상화의 감상자가 스스로 해석을 창조한다는 의견은 뇌과학적으로 볼 때 타당하다. 우리가 어떤 이미지를 인식할 때 뇌에서는 2가지 처리가 일어난다. 하나는 시신경을 통해 지각된 대상과 배경을 인식하는 상향처리이고 다른 하나는 기억 속에 저장된 정보를 동원해서 그 맥락을 이해하는 하향처리이다. 추상화의 해체된 이미지를 접한 감상자는 상향처리로는 아무런 인식도 얻을 수 없다. 하향처리를 통해 해석할 뿐이다. 그리고 감상자는 해석을 창조함으로써 작품을 완성하는 능동적 참여자가 된다.

이 책 덕분에 지금껏 괴상하다고만 생각했던 추상화를 즐겨볼 생각을 하게 됐다.
번역 좋았다 (번역 별 3.5 ★★★☆).

 

생각과 형상을 단순화함으로써 우리는 흡족한 마음의 평화를 향해 더 다가간다. 기쁨을 표현할 방법을 찾기 위해 생각을 단순화하는 것, 우리가 하는 일은 오로지 그것뿐이다. -- 앙리 마티스

 

Posted by ing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