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언젠가 죽는다


데이비드 실즈(1956~) 지음
김명남 옮김
문학동네 펴냄

2011.1.15.
당연히 우리는 언젠가 죽는다. 하지만 우리는 대부분 '나의' 죽음이 예정되어 있음을 잊곤한다. 지금 사는 내 주위의 모두가, 모든 사람과 생명이, 다소 늦거나 빠르기는 하겠지만 언젠가 함께 죽을 운명이라는 것을 생각하면 우리는 주변의 모두에게 악하게 굴 수 없다. 조금 비약하자면 모두를 사랑할 수 밖에 없다. 우리는 모두 죽음을 공유하는 전우다.

이 책은 사람이 태어나서 유아기, 청년기, 장년기, 노년기를 거쳐 죽을 때까지의 변화를 저자와 저자 아버지의 이야기를 섞어가며 풀어낸다. 그리고 각 시기를 바라보는 유명인들의 통찰이 담긴 한마디를 빼곡하게 소개한다. 죽음을 다루고 있지만 유쾌한 글이다. 책을 읽으면, 인생을 한번 살고 죽은 느낌이 든다.

2018.5.27.
위로가 된 구절을 발췌한다.

아버지는 으쓱하더니 말했다.
죽는 건 쉽다. 아무리 못난 사람이라도 그건 하잖니. 사는 게 재주지.
좋은 번역이었다 (번역 별4 ★★★★).

Posted by ingee
,

카이사르의

갈리아 전쟁기


카이사르(BC100~BC44) 지음
김한영 옮김
사이 펴냄


카이사르가 직접 쓴 8년간의 갈리아 전쟁 기록이다 (BC 58 ~ BC 50).
전쟁의 결과로 카이사르는 많은 부족들로부터 항복을 받아내고 갈리아 지역을 완전히 정복했다. 이 책은 당시 로마의 베스트셀러였다고 한다 (BC 50년경).

카이사르의 로마군은 시종일관 월등한 전투력을 보였다.

첫째로 로마군은 세밀한 전투체계를 갖췄다.
행군의 경우에도 보통행군, 강행군, 최강행군을 구분했다. 보통행군은 5시간에 25킬로미터를 행군하는 것이었고, 강행군은 7시간에 30킬로미터를, 최강행군은 밤낮을 가리지 않고 최대한의 거리를 행군하는 것이었다. 또 척후병 체계와 보고 체계도 잘 갖추고 있었다. 혼란한 전투 중에도 다양한 경로로 정보를 수집해서 올바른 판단을 내리고 작전을 수행할 수 있었다.

둘째로 뛰어난 공병기술과 무기기술을 갖췄다.
로마군의 전투는 진지구축 공사로 시작했다. 유리한 위치에 탄탄한 진지를 구축하고 공격을 시작하는 것이 로마군의 방식이었다. 로마의 적들은 하룻밤 사이에 커다란 다리를 짓고 허무는 로마군의 능력에 경악했다. 로마군의 투석기, 토루, 엄호차 같은 무기도 당시의 첨단 병기이자 공포의 대상이었다.

셋째로 카이사르는 군대와 소통했다.
카이사르는 작전을 일방적으로 지시하지 않았다. 그는 작전을 설명했다. 자신의 예측과 판단 근거를 설명했다. 유불리를 따지지 않고 전투 상황을 있는 그대로 설명했다. 왜 싸워야 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싸워야 하는지 아는 그의 군대는 무적이었다.

편안하게 독서할 수 있는 좋은 번역이었다 (번역 별4 ★★★★).


Posted by ingee
,

옷장 속의 세계사


이영숙(1967~) 지음
창비 펴냄


엄마가 작중 화자다. "엄마가 옷장을 열어보니 청바지가 있네? 청바지를 처음 입던 미국 개척시대의 역사를 들어볼래?" 하는 투로 이야기를 시작한다. 중학생 정도의 눈높이에 맞춰서 세계사 이야기를 들려주는데, 흔하지 않은 이야기여서 일반 성인이 읽어도 재밌다. 200쪽 약간 못미치는 부담 없는 두께다.


Posted by ingee
,

과학혁명의 구조

토머스 S. 쿤(1922~1996) 지음
김명자, 홍성욱 옮김
까치 펴냄


쿤은 과학의 역사를 연구하는 과학 사학자다. 그는 과학사를 이해하기 위한 도구로 패러다임이라는 개념을 제안했다. 패러다임은 과학자 집단이 공유하는 지식과 관점의 체계를 말한다. 같은 자연 현상도 과학자가 속해 있는 패러다임이 다르면 다르게 해석된다.

과학자가 패러다임을 바꾸는 것은 종교적 개종과 맞먹을 정도로 어려운 일이다. 그래서 새로운 패러다임을 창출한 사람은 예외 없이 젊든가 그 분야를 아주 새롭게 접한 사람들이었다. 또 그래서 패러다임 전환은, 다시 말해 과학의 발전은, 항상 혁명적으로 이루어져왔다.

주의할 점은 패러다임에는 목적지가 없다는 것이다. 새로운 패러다임은 이전 패러다임의 문제를 해결하는 '다른' 패러다임일 뿐, 어떤 목적지에 더 가까이 다가간, 더 '올바른' 패러다임이 아니다. 이는 진화에 목적지가 없는 것과 비슷하다. 진화 역시 주어진 환경에 더 잘 적응하는 '다른' 종을 만들어내는 과정일뿐, 어떤 궁극적이고 최종적인 '올바른' 종을 만들기 위한 과정이 아니다 (예를 들어 '인간'을 만들기 위한 과정이 아니다).

패러다임과 패러다임 전환이라는 개념의 기원과 뜻을 알 수 있었다. 패러다임 전환은 과학의 역사 뿐 아니라 다른 세상사에도 적용 가능한 이야기 같았다.
괜찮은 번역이었다. 문장이 매끄럽지는 않은데, 이상하게 잘 이해됐다 (번역 별3.5 ★★★☆).



Posted by ingee
,

미드나잇블루

악(樂) 2018. 5. 3. 06:32

미드나잇블루 3곡

베토벤

 

루이스터커

 

ELO

 

Posted by ing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