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자의 목소리로 듣는

도덕경

최진석 지음
소나무 펴냄

 

도덕경은 문자만 알아서는 뜻을 이해하기 어렵다. 비슷한 시기에 나온 논어가 평이한 문자와 문장으로 짤막한 일상을 나열하는 이야기 책이라면, 도덕경은 노자의 철학적 주장을 정연하게 설명하는 논문이다. 최진석 교수가 번역하고 해설한 이 책은 문자만 알고 읽는 도덕경과 맥락을 알고 있는 학자가 설명하는 도덕경이 어떻게 다른지 절감하게 한다.


하지만 그렇게 이해한 도덕경도 여전히 어렵고 막막했다. 도덕경은 무위(無爲)를 말한다. 나는 유위(有爲)의 패러다임에 속한 사람이다. "하면 된다"가 국가적 구호였던 시대의 사람이다. 그런 나에게 "무엇을 하라"는 말은 이해하기 쉽다. 그러나 "무위(無爲)를 하라"는 말은 이해하기 어렵다. 무엇을 어떻게 하라는 건지 모르겠다. 억지로, 무위(無爲)한다는 것을 "사사롭지 않게 행동하는 것"이라고 이해해보지만 그것이 아닌 것 같은 느낌만 강하게 든다. 더 읽고 더 생각해봐야겠다.


저자는 철학하는 자세를 강조한다. 철학은 철학자의 생각을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그 철학자가 그 상황에서 그 답을 생각한 과정을 관찰하는 것이라고 한다. 그래서 내가 처한 상황에서 나 나름의 답을 생각하는 능력을 갖추는 것이라고 한다. 철학 분야의 이런저런 책들을 읽었지만 본 적 없던 반가운 주장이었다.


번역 멋졌다 (번역 별 4.5 ★★★★☆).

 

우리는 유물론과 관념론을 반대되는 전혀 다른 두 세계관으로 보지만, 그 둘이 다 본질주의의 다른 두 가지 형태일 뿐이라는 점에서는 일치함을 알아야 한다. 우리가 보는 노자는 아마 이 둘과 동시에 결별해 버리는 또 하나의 전혀 다른 세계관일 것이다.
무위한다는 것은... 특정한 체계의 인도를 받거나 목적 혹은 욕망 등을 근거로 하지 않는 행위이다. 자연의 운행 모습(道)이 그러하다. 그러므로 가장 훌륭한 덕 또한 그러한 것이다.
세계가 대립면들 사이의 묘한 꼬임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이치를 모르고, 스스로 그어 둔 금 속에 고정된 채, 시멘트처럼 굳었거나 대리석처럼 반들거리며, 한치도 물러서지 않는 사람들은 종말이 좋지 않다.

 

Posted by ing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