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 14편(헌문) 27장

논어 2009. 5. 12. 08:35

子曰 자왈

不在其位 부재기위

不謀其政 불모기정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그 지위에 있지 않으면

그 정치를 논하지 않는다.

Posted by ingee
,

논어 14편(헌문) 26장

논어 2009. 5. 11. 10:11

蘧伯玉 使人於孔子 거백옥 사인어공자
孔子與之坐而問焉曰 공자여지좌이문언왈
夫子何爲 부자하위
對曰 대왈
夫子欲寡其過而未能也 부자욕과기과이미능야
使者出 子曰 사자출 자왈
使乎使乎 사호사호

 

蘧伯玉(거백옥)의 사자가 공자님을 찾아왔다.
공자께서 함께 앉아 물으셨다.
선생(거백옥)께서는 어떻게 지내십니까?
이에 (사자가) 대답했다.
선생께서는 잘못함을 줄이려고 하시지만 잘 안되시는 듯 합니다.
사자가 나가고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좋은) 사자로다. (좋은) 사자로다.

 

거백옥은 공자님과 좋은 관계를 유지했던 동시대의 위나라 대부다.

 

Posted by ingee
,

子曰 자왈
古之學者爲己 고지학자위기
今之學者爲人 금지학자위인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옛날의 사람들은 자기를 위해 공부했고,
지금의 사람들은 남을 위해 공부한다.

 

Posted by ingee
,

子曰 자왈

君子上達 군자상달

小人下達 소인하달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는 높게 통달하고

소인은 낮게 통달한다.

Posted by ingee
,

子路問事君 자로문사군

子曰 자왈

勿欺也 물기야

而犯之 이범지

 

자로가 임금을 섬기는 법에 대해 물었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속이지 말라.

앞에서 직언하라.

Posted by ingee
,

논어 14편(헌문) 22장

논어 2009. 4. 30. 08:26

陳成子弑簡公 진성자시간공
孔子沐浴而朝 告於哀公曰 공자목욕이조 고어애공왈
陳恒弑其君 請討之 진항시기군 청토지
公曰 告夫三子 공왈 고부삼자
孔子曰 공자왈
以吾從大夫之後 不敢不告也 이오종대부지후 불감불고야
君曰告夫三子者 군왈고부삼자자

 

(이웃 제나라의) 陳成子(진성자)가 簡公(간공)을 시해하자
공자께서는 목욕하시고 조정에 드시어 애공에게 고하셨다.
"陳恒(진항, 진성자)이 자기 임금을 시해했으니 토벌을 청합니다."
애공이 말했다. "세 대부 (맹씨, 숙씨, 계씨)에게 말하시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나는 말단이지만 대부의 신분이라 (지금) 아뢰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런데, 임금께서 세 대부에게 말하라 하시는구나."

 

之三子告 不可 지삼자고 불가
孔子曰 공자왈
以吾從大夫之後 不敢不告也 이오종대부지후 불감불고야

 

이에 공자께서 세 대부에게 (토벌을) 고하셨으나 (세 대부는) 불가하다 답했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나는 말단이지만 대부의 신분이라 (지금) 고하지 않을 수 없었다."

 

당시 노나라는 임금보다 권문 3세가의 힘이 더 큰 상황이었다.
무력한 상황에서 안 될 것을 알면서도 실행하시는 공자님의 모습이 안쓰럽다.

 

Posted by ingee
,

논어 14편(헌문) 21장

논어 2009. 4. 29. 08:59

子曰 자왈

其言之不怍 기언지부작

則爲之也難 즉위지야난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말한 바에 부끄러움을 느끼지 못하는 사람이

말한 바를 실천하기는 어렵다.

Posted by ingee
,

논어 14편(헌문) 20장

논어 2009. 4. 28. 08:33

子言衛靈公之無道也 자언위령공지무도야
康子曰 강자왈
夫如是 奚而不喪 부여시 해이불상
孔子曰 공자왈
仲叔圉 治賓客 중숙어 치빈객
祝駝 治宗廟 축타 치종묘
王孫賈 治軍旅 왕손가 치군려
夫如是 奚其喪 부여시 해기상

 

공자께서 위령공의 무도함에 대해 말씀하셨다.
계강자가 듣고 말하였다.
그런데도 (위나라가) 어찌 망하지 않습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중숙어가 외교를 맡아 다스리고,
축타가 종묘를 맡아 다스리고,
왕손가가 군대를 맡아 다스립니다.
그러니 어찌 망하겠습니까?

 

衛靈公(위령공)은 위나라의 임금이다.

康子(강자)는 공자님의 나라 노나라의 실력자 季康子(계강자)다.

仲叔圉(중숙어), 祝駝(축타), 王孫賈(왕손가)는 위나라의 대신들이다.

 

Posted by ingee
,

논어 14편(헌문) 19장

논어 2009. 4. 27. 08:37

公叔文子之臣大夫僎 공숙문자지신대부선

與文子 同升諸公 여문자 동승저공

子聞之曰 자문지왈

可以爲文矣 가이위문의

 

공숙문자의 가신이었던 대부 僎(선, 사람 이름)이

공숙문자의 추천으로 (공승문자와) 동등한 (위나라의) 대신이 되었다.

공자께서 그 이야기를 듣고 말씀하셨다.

(공숙문자는) 가히 文(문)이라 불리울만 하다.

 

고대 중국에서 文(문)이라는 시호는 대단히 영예로운 호칭이었다.

Posted by ingee
,

논어 14편(헌문) 18장

논어 2009. 4. 24. 08:29

子貢曰 자공왈
管仲 非仁者與 관중 비인자여
桓公 殺公子糾 환공 살공자규
不能死 又相之 불능사 우상지
子曰 자왈
管仲相桓公覇諸侯 관중상환공패제후
一匡天下 民到于今 受其賜 일광천하 민도우금 수기사
微管仲 吾其被髮左衽矣 미관중 오기피발좌임의
豈若匹夫匹婦之爲諒也 개약필부필부지위량야
自經於溝瀆而莫之知也 자경어구독이막지지야

 

자공이 말했다.
관중은 仁(인)하지 못한 사람 아닙니까?
(제나라) 환공이 공자 규를 죽였을 때
(관중은) 따라 죽지 못했고, 더구나 (환공 밑에서) 재상까지 했습니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관중은 재상이 되어 환공을 제후들 중의 패자로 만들었다.
일거에 천하를 바로 잡아 백성들이 지금까지도 그의 혜택을 보고 있다.
관중이 없었다면 나 역시 머리를 풀고 옷깃을 왼쪽으로 했을 것이다 (다른 민족에게 정복 당하여 그들의 풍속을 따랐을 것이다).
어찌 평범한 사람이 알량한 사실을 위해
개천에서 목을 메어 죽은 뒤 아무도 알아주지 않는 것과 비교하겠느냐?

 

Posted by ing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