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曰 자왈
君子 喩於義 군자 유어의
小人 喩於利 소인 유어리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는 의리에 밝고,
소인은 이익에 밝다.
子曰 자왈
君子 喩於義 군자 유어의
小人 喩於利 소인 유어리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는 의리에 밝고,
소인은 이익에 밝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參(삼, 증자의 이름)아, 내 道(도)는 하나로 꿰뚫었다."
증자가 말했다. "그렇습니다."
공자께서 나가시자 문인들이 모여 물었다.
"무슨 말인가?"
증자가 말했다.
"선생님의 道(도)는 忠(충)과 恕(서)일 뿐입니다."
2008.4.4.
공자께서 자신의 道(도)를 증자에게 전하시는 순간이다.
忠(충)은 진심을 다하는 것이고, 恕(서)는 남의 마음이 내 마음과 같음을 아는 것이다.
2009.6.28.
공자께서 직접 자신의 道(도)를 설명하신 문장이다. 그래서 귀한 문장이다. 공자님은 一以貫之(일이관지)라며 하나를 말씀하셨는데, 증자는 忠(충)과 恕(서)라며 두개를 이야기했다. 모순일까? 아니다. 하나로 꿰뚫는 직선의 양단에 忠(충)과 恕(서)가 있는 것이다. 내적 출발점으로 忠(충)이 있고 외적 지향점으로 恕(서)가 있다. 그 양단을 이어 쭉 뻗은 길이 공자님의 道(도)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벼슬자리에 오르지 못했음을 걱정하지 말고,
스스로 서지 못했음을 걱정하라.
자기를 몰라줌을 걱정하지 말고,
알아줄만한 사람이 못됐음을 걱정하라.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예의와 겸양으로 나라를 다스릴 수 있는 사람이 있을까?
예의와 겸양으로 나라를 다스리지 못한다면, 예의는 무엇에 쓸까?
子曰 자왈
放於利而行 방어리이행
多怨 다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이익을 쫓아 행동하면
원망을 많이 듣는다.
子曰 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君子懷德 군자회덕
小人懷土 소인회토
(가치를 판단할 때)
군자는 덕을 생각하고
소인은 땅(즉, 실리)을 생각한다.
君子懷刑 군자회형
小人懷惠 소인회혜
(스스로 과오가 있을 때)
군자는 형벌을 바라고,
소인은 은혜를 바란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가 천하를 대함에
긍정할 것도 부정할 것도 없다.
의로움으로 판단할 뿐이다.
子曰 자왈
士志於道 사지어도
而恥惡衣惡食者 이치악의악식자
未足與議也 미족여의야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道(도)에 뜻을 둔 선비가
나쁜 옷과 나쁜 음식을 부끄럽게 여긴다면
아직 함께 의논할 사람이 못된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아침에 도를 깨치면
저녁에 죽어도 여한이 없다.
子曰 자왈
人之過也 各於其黨 인지과야 각어기당
觀過 斯知仁矣 관과 사지인의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사람의 잘못은 그가 속한 무리에서 비롯된다.
잘못을 관찰함으로써 仁(인)에 대해 알 수 있다.
仁(인)은 사람 사이의 관계에서 비롯되는 개념이다. 개인의 잘못도 사람 사이의 관계에서 비롯된다. 잘못을 살피면 仁(인)이 무엇인지 알 수 있다 (공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