붓다의 치명적 농담
(한형조 교수의 금강경 별기)
한형조 지음
문학동네 펴냄
처음 접한 불교 계열 서적이다. 이 책이 펼쳐 보이는 불교는 인식론이었고 인지과학이었다. 세상을 탐욕과 분노와 무지(貪瞋癡, 탐진치)로 왜곡시켜 보지 말고 있는 그대로 보아야 한다고 말한다. 그래야 세상의 진실을 인식할 수 있고, 그래야 고요한 평정심을 얻을 수 있다.
금강(다이아몬드)처럼 반짝이는 핵심을 친숙한 언어로 편안하게 설명해준 저자가 고맙다.
붓다의 치명적 농담
(한형조 교수의 금강경 별기)
한형조 지음
문학동네 펴냄
처음 접한 불교 계열 서적이다. 이 책이 펼쳐 보이는 불교는 인식론이었고 인지과학이었다. 세상을 탐욕과 분노와 무지(貪瞋癡, 탐진치)로 왜곡시켜 보지 말고 있는 그대로 보아야 한다고 말한다. 그래야 세상의 진실을 인식할 수 있고, 그래야 고요한 평정심을 얻을 수 있다.
금강(다이아몬드)처럼 반짝이는 핵심을 친숙한 언어로 편안하게 설명해준 저자가 고맙다.
대우고전총서 019, 순수이성비판
임마뉴엘 칸트 지음
백종현 옮김
아카넷 펴냄
순수이성비판을 통해 칸트는 인간의 이성으로는 초월적 신과 불멸적 영혼을 논증하거나 이해하는 것이 불가능한 일임을 논리적으로 증명힌다. 그리고 칸트는 인간의 사변적 이성에는 한계가 있다는 점을 논증한다. 하지만 칸트는 사변적 이성보다 실천적 이성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는 혐오스럽지 않은 인간이 되기 위해서는 윤리적으로 행동해야 하며 윤리적 행동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초월적 신과 불멸적 영혼, 그리고 자유로운 판단을 가정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순수이성비판을 통해 칸트가 답을 구하려했던 문제는 '순수이성의 종합적 판단이 가능한가?' 였다. 다시 말해, 칸트는 경험을 배제한 순수한 이성이 경험을 배제한 순수한 사고를 통해 새로운 인식을 얻을 수 있는지에 대한 답을 구하려 했다. 이 질문에 대한 비판적 사고는 형이상학 그 자체는 아니지만 형이상학이 가능한 것인지, 다시 말해 인간이 추구해도 좋은 학문인지에 대한 답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한 것이다.
1년 내내 읽었지만 아직 끝을 보지 못했다. 내년에도 계속 읽어야겠다.
좋은 번역서 1권이 좋은 해설서 10권보다 낫다. 이런 번역서가 존재하는 것은 축복이다. 역자에게 감사한다.
칸트는 언제고 한번 넘어보고 싶은 산이다. 사람으로 생각하는 능력을 부여 받고 태어난 이상, 여력이 된다면 언젠가 철학이라는 것을 공부해보고 싶었다. 그런 과정에서 칸트는 꼭 한번 짚고 넘어가야할 존재라고 생각하고 있다.
짧은 소견으로 무리해서 정리하자면, 동양철학은 관계에 대한 철학이다. 개인의 존재와 현실의 존재를 당연하다고 인정하고, 그위에서 해야할 바를 논의한다. 반면 서양철학은 존재의 철학이다. 개인의 존재를 의심하고 현실의 존재를 의심하며 이에 대해 논의한다. 그래서 동양철학이 논의해온 내용과 서양철학이 논의해온 내용이 다르다.
칸트는 일련의 비판서를 저작하면서 제일 먼저 이성을 통해 알 수 있는 것과 알 수 없는 것의 한계를 구분짓는 작업을 한다. 개인의 존재에 절대적 가치를 부여하고 현실을 개인 인식 속의 환상으로 취급하던 관념론과, 현실의 존재에 절대적 가치를 부여하고 개인의 자유 의지를 부정하던 경험론 사이에서 철학이 무한 방황할 때, 칸트는 꽤나 획기적인 발상의 전환으로 '인간이 이성으로 현실을 인식하는 과정'을 설명했다. 이것이 바로 순수이성비판에 실린 내용이다.
그린비의 '순수이성비판, 이성을 법정에 세우다'는 한국인 저자 진은영씨가 칸트를 기반으로 새로 지은 책이다. 단순한 번역이 아니라 새로운 저작인데, 그 설명이 쉽고 흡인력 있다. 이책을 계기로 그린비의 '리라이팅 클래식' 시리즈를 섭렵해봐야겠다는 마음이 들 정도였다.
아직 칸트의 원본 저작을 접하지 못했다. 계속 주변 해설서만 맴돌고 있다. 아직 용기가 나지 않는다. 언젠가 계기가 있을 것이라 믿는다. 이책도 하나의 계기가 돼줬다.
글쓴이 진은영
펴낸곳 그린비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