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는 어떻게 인간의 정체성을 발명하는가

'나'라는 착각

The Self Delusion

 

그레고리 번스 지음
홍우진 옮김
흐름출판 펴냄

 

인간 본성을 이야기한다. 그래서 뇌과학 분야의 연구 성과와 실험 자료들을 말함에도 불구하고 종종 철학서나 종교서를 읽는 기분이 들었다. 무엇을 주장하는 책이 아니라 사실을 나열하는 책이다. 책이 제시하는 사실에 기대어 풍성하게 상상할 수 있었다.

 

독서하는 과정에서 뜬금없이 논어 속 문장 하나를 이해하게 됐다. '비례물시 비례물청 비례물언 비례물동 (非禮勿視 非禮勿聽 非禮勿言 非禮勿動)'이란 문장이었다. 이해하기 힘들었던 것은 '예의가 아니면 보지 말라, 듣지 말라'는 구절이었다. 보는 것과 듣는 것은 내가 어찌할 수 없는, 내 의지와 상관없이 닥쳐오는 사건 아닌가? 보여지는 것을 보고 들려지는 것을 듣는 것인데 도대체 뭘 어쩌라는 말인가?

 

p262. 우리는 누구의 말을 듣고, 어떤 책을 읽고, 어떤 미디어를 보는가에 대해 어느 정도의 통제력을 가지고 있다. ... 과거의 당신이 이야기로 만들어졌듯이, 이야기는 미래의 당신을 바꿀 수 있다.
p279. 쓰레기를 읽으면 쓰레기가 된다.

 

그렇다. 가려 보고 가려 들으면 되는 일이다.

저자가 책 말미에 공자님을 인용한다. 역시나 저자는 동양 고전을 읽은 서양 사람이었다. 그런 사람들은 뭔가 다르다. 『월든』의 '소로우'도 논어를 읽은 서양 사람이었다. 인문학에 관심을 갖는 과학자, 동양 사상에 관심을 갖는 서양 사람은 흥미롭다. 흥미로운 사람에게서 흥미로운 글이 나온다. 어쩌면 우리는 세상에 흥미로운 이야기 하나 남기기 위해 사는 건지도 모른다.

 

회사 사람들과 함께 긴 시간 동안 차분히 읽었다. 번역 좋았다 (번역 별 3.5 ★★★☆).

 

 

Posted by ing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