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이세이 일본의 잃어버린 30년

 

요시미 슌야 지음
서의동 옮김
AK 펴냄

 

세상 재미있는 구경이 불구경과 싸움 구경이라고 한다. 그런데 이번 불구경은 그렇게 재밌지 않았다.

 

헤이세이平成는 1989년부터 2019년까지 30년간 일본이 쓰던 연호다 (지금은 레이와令和를 쓴다). 이 시기 일본은 많은 실패를 거듭했다. 경제가 망했고, 정치가 망했고, 사회가 망했다. 그런데 일본이 겪은 실패의 목록이 낯설지 않다.

헤이세이 30년간... 위기는 심화했다... 비정규고용 확대와 고용불안, 고학력층의 취직난, 워킹푸어 등의 문제가 분출했고... 초고령화 사회의 도래... 저출산... 세대 간 이해대립이 격화됐다.

비정규직, 고용불안, 청년취업, 워킹푸어, 저출산, 세대갈등... 바로 우리 문제다. 1989년 일본에는 "1.57 쇼크"라는 말이 회자됐다. 출산율이 1.57까지 떨어져 미래에 일본이 지속할 수 없을지도 모른다고 걱정했던 쇼크를 일컫는 말이다. 지금 우리나라의 출산율은 1.0에도 못 미친다. 어쩌면 우리는 일본보다 더 망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1980년대의 일본은 한때 1인당 국민소득이 미국을 앞질렀던 압도적인 경제 대국이었다. 그랬던 일본이 30년째 제자리인 이유는 1980년대의 압도적인 성공에 취해 위기를 바로 보지 못했기 때문이다. 눈을 감으면 날아오는 펀치를 피할 수 없다. 맞더라도 두 눈 뜨고 맞아야 한다. 성공하고 있을 때, 자신감이 넘칠 때 조심해야 한다.

세계사가 대전환을 이루기 시작한 것은 1970년대이다. 변동환율제로의 이행에서 플라자 합의에 이르는 과정... 일본은 1970년, 80년대를 '풍족한 소비사회' 시대로 구가했기 때문에 동시대에 세계에서 일어나고 있던 변화에 둔감했다.
결국, 헤이세이 일본 사회가 향한 것은 비정규고용의 청년과 여성, 외국인 노동자를 사회 전체가 착취하는 체제의 고착화였다. 이를 정당화한 것이 신자유주의 이데올로기이고, 여기에 동원된 것이 '구조개혁'이라는 캐치플레이즈였다.

 

일본의 지난 30년은 우리가 참고할 아주 좋은 선례다. 우리가 눈앞에 닥친 위기를 일본보다는 덜 아프게 헤쳐나갈 수 있기를 기도한다. 나쁘지 않은 번역이었다 (번역 별 3.5 ★★★☆).

 

 

Posted by ing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