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入大廟 자입태묘
每事問 매사문
或曰 혹왈
孰謂鄹人之子 知禮乎 숙위추인지자 지례호
入大廟 每事問 입태묘 매사문
子聞之曰 자문지왈
是禮也 시례야

 

공자께서 태묘에 드시자
모든 절차를 물으며 하셨다.
누군가 말하기를
누가 鄹(추)인의 아들이 禮(예)를 안다고 했는가?
태묘에 들어서더니 모든 것을 물어가며 하던데?
공자께서 그 말을 듣고 말씀하셨다.
그렇게 하는 것이 禮(예)다.

 

大廟(태묘)는 노나라의 사당이다.

鄹(추)는 공자님의 고향이다.

공자께서는 모르는 것 묻기를 주저하지 않으셨다. 아랫 사람에게 묻는 것도 부끄러워 하지 않으셨다. 배움에 있어 담백했다. 권위주의적 모습이 없었다.
예를 차려야 하는 자리에서 어떻게 행동해야 할 지 몰라 당황한 적이 있는가? 물어보면 된다. 심지어 공자께서도 그렇게 하셨다.

 

Posted by ingee
,

子曰 자왈

周監於二代 주감어이대

郁郁乎文哉 욱욱호문재

吾從周 오종주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주나라는 (하나라와 은나라) 2대를 거울로 삼았다.

빛나고 빛난다. 그 문화여!

나는 주나라를 따르겠다.

Posted by ingee
,

王孫賈問曰 왕손가문왈
與其媚於奧 여기미어오
寧媚於竈 영미어조
何謂也 하위야

 

왕손가가 물었다.
집안 최고 신에게 기도하는 것보다
부뚜막 신에게 기도하는 것이 낫다는데,
무슨 말일까요?

 

子曰 자왈
不然 불연
獲罪於天 획죄어천
無所禱也 무소도야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그렇지 않습니다.
하늘에 죄를 지으면
기도할 곳이 없습니다.

 

왕손가는 위나라의 대부다.

공자께서는 한평생 벼슬자리를 얻기 위해 넓디넓은 중국을 떠돌며 노력하셨다. 이 이야기는 공자께서 위나라에 머무실 때의 이야기다. 왕손가는 공자께 정계에 진출할 수 있는 뒷문을 열어주겠다고 은근한 제안을 한 것이다. 공자께서는 바르고 투명한 길이 아니면 가지 않겠다고 선언하신다. "하늘에 죄를 지으면 기도할 곳이 없다." 단호한 거절이다.

 

Posted by ingee
,

祭如在 제여재

祭神如神在 제신여신재

子曰 자왈

吾不與祭 如不祭 오불여제 여부제

 

조상에게 제사 지낼 때는 조상이 함께 계신 듯이 하고,

신에게 제사 지낼 때는 신이 함께 계신 듯이 한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자신이 제사에 참석하지 않으면, 제사를 지내지 않은 것과 같다.

 

제사에 다른 사람을 대신 보내는 경우를 보고 이르신 말씀이다.

Posted by ingee
,

或問禘之說 혹문체지설
子曰 자왈
不知也 부지야
知其說者之於天下也 지기설자지어천하야
其如示諸斯乎 기여시저사호
指其掌 지기장

 

누군가 禘(체) 제사에 대한 설명을 요구했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모릅니다.
그에 대해 설명할 수 있는 사람이라면 천하를 대함이
이것을 들여다 보는 것과 같을 것입니다 (그처럼 쉬울 것입니다).
(그리고는) 손바닥을 가리키셨다.

 

2008.3.3.
3장 팔일에서는 제사의 의미와 법도, 제사에 사용되는 음악과 무용 등에 대한 이야기가 많다.
공자님 시대에는 제사가 우주와 인간을 이해하는 인식의 틀이었다고 한다. 당시의 문화가 만들어낸 지적 행위의 정수였을 것이다. 논어에 언급된 제사를 보면 헤르만헤세의 소설 '유리알 유희'가 연상된다.

 

2009.6.26.
이글을 옮기던 당시 헤르만헤세의 '유리알 유희'를 읽었다. 유명한 책이지만 제목만 알다 뒤늦게 읽었다. 책 읽은 표시를
내고 싶었다. 지금 보니 부끄럽다.

 

Posted by ing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