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의 마지막 공부

운명을 넘어선다는 것

 

김승호 지음
다산초당 펴냄

 

주역은 문왕과 주공이 짓고 (BC 1000년경, 약 3000년전), 공자께서 해설하신 책이다 (BC 500년경, 약 2500년전). 공자께서는 나이 50에 주역의 가치를 깨닫고 그때부터 깊이 공부하셨다고 한다. 주역은 64개의 괘로 세상 모든 일을 이해하는 흥미로운 상징체계다.

처음에는 공자도 보통 사람처럼 쉽게 접했던 것이고, 다만 이 내용이 심오하다는 것을 어느 날 갑자기 깨닫게 된 것이리라. 이때가 바로 공자가 50세 무렵이었던 거라고 생각된다.
먼저 세상의 모든 사물이 8개로 분류되었고 이것이 합쳐져서 64개의 현상으로 발전한다. 이로써 세상의 모든 사물을 표현할 수 있다. 그 밖으로 나가는 것은 없다. 공자는 주역의 이러한 절대적 논리에 매료되었던 것이다.

 

처음엔 64개라는 숫자가 부족하다고 느꼈다. 세상 모든 일을 64괘로 분류해서 설명하겠다는 주역의 야심이 터무니 없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내가 현실 세계에서 어떤 문제를 겪을 때 고려하는 경우의 수가 64개에도 크게 못 미친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어떤 문제를 마주해서 64개 경우의 수를 따져보는 것은 굉장히 깊게 숙고하는 것이다. 어쩌면 64괘의 상징체계는 현실을 보다 더 풍부하게 살펴보라는 가르침일 수 있다.

무한한 사물을 이해하는 데 유한한 괘상을 사용하는 것이 주역의 유용성이다.
세상의 사물은 끝이 없다. 하지만 그것을 유형별로 나누면 64개밖에 안 된다. 무한히 많은 사물이 고작 64개의 논리로 다 설명된다는 뜻이다. 이것이 바로 주역의 위력이다.

 

주역 공부는 사물을 보고 괘상을 알아내는 것과 괘상을 보고 사물을 찾아내는 것 두 가지라고 한다. 그리고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이라고 한다. 사람이 살면서 놓지 말아야 할 것이 지혜와 인격을 닦는 일이다. 그것은 부단한 공부를 통해 이룰 수 있다. 주역 공부도 한 방편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주역이란... 보통 사람도 해독 가능한 학문이다. 주역은 그리 어려운 학문이 아니다.
공자는 자상하게 상황에 따른 처신을 알려 주었지만 괘상 그 자체에 대해서는 설명해 주지 않았다... 이는 몹시 아쉬운 일이지만 그만한 이유가 있다. 괘상을 연구하는 일은 우리 같은 보통 사람도 얼마든지 할 수 있는 일인바 성인이 사소한 문제까지 관여하지 않았을 뿐이다.
사람은 책을 많이 읽음으로써 지식을 얻을 수 있고 이로써 인격이 향상될 수 있다.
주역은 누구나 깨달을 수 있는 학문이다.

 

 

Posted by ing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