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曰 자왈
射不主皮 사부주피
爲力不同科 위력부동과
古之道也 고지도야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활쏘기는 과녁을 뚫는 것에 중점을 두지 않는다.
(과녁을 맞추는 것에 중점을 둔다.)
사람의 힘이 저마다 다르기 때문이다.
옛사람의 道(도)가 이와 같다.

 

Posted by ingee
,

子入大廟 자입태묘
每事問 매사문
或曰 혹왈
孰謂鄹人之子 知禮乎 숙위추인지자 지례호
入大廟 每事問 입태묘 매사문
子聞之曰 자문지왈
是禮也 시례야

 

공자께서 태묘에 드시자
모든 절차를 물으며 하셨다.
누군가 말하기를
누가 鄹(추)인의 아들이 禮(예)를 안다고 했는가?
태묘에 들어서더니 모든 것을 물어가며 하던데?
공자께서 그 말을 듣고 말씀하셨다.
그렇게 하는 것이 禮(예)다.

 

大廟(태묘)는 노나라의 사당이다.

鄹(추)는 공자님의 고향이다.

공자께서는 모르는 것 묻기를 주저하지 않으셨다. 아랫 사람에게 묻는 것도 부끄러워 하지 않으셨다. 배움에 있어 담백했다. 권위주의적 모습이 없었다.
예를 차려야 하는 자리에서 어떻게 행동해야 할 지 몰라 당황한 적이 있는가? 물어보면 된다. 심지어 공자께서도 그렇게 하셨다.

 

Posted by ingee
,

子曰 자왈

周監於二代 주감어이대

郁郁乎文哉 욱욱호문재

吾從周 오종주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주나라는 (하나라와 은나라) 2대를 거울로 삼았다.

빛나고 빛난다. 그 문화여!

나는 주나라를 따르겠다.

Posted by ingee
,

王孫賈問曰 왕손가문왈
與其媚於奧 여기미어오
寧媚於竈 영미어조
何謂也 하위야

 

왕손가가 물었다.
집안 최고 신에게 기도하는 것보다
부뚜막 신에게 기도하는 것이 낫다는데,
무슨 말일까요?

 

子曰 자왈
不然 불연
獲罪於天 획죄어천
無所禱也 무소도야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그렇지 않습니다.
하늘에 죄를 지으면
기도할 곳이 없습니다.

 

왕손가는 위나라의 대부다.

공자께서는 한평생 벼슬자리를 얻기 위해 넓디넓은 중국을 떠돌며 노력하셨다. 이 이야기는 공자께서 위나라에 머무실 때의 이야기다. 왕손가는 공자께 정계에 진출할 수 있는 뒷문을 열어주겠다고 은근한 제안을 한 것이다. 공자께서는 바르고 투명한 길이 아니면 가지 않겠다고 선언하신다. "하늘에 죄를 지으면 기도할 곳이 없다." 단호한 거절이다.

 

Posted by ingee
,

祭如在 제여재

祭神如神在 제신여신재

子曰 자왈

吾不與祭 如不祭 오불여제 여부제

 

조상에게 제사 지낼 때는 조상이 함께 계신 듯이 하고,

신에게 제사 지낼 때는 신이 함께 계신 듯이 한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자신이 제사에 참석하지 않으면, 제사를 지내지 않은 것과 같다.

 

제사에 다른 사람을 대신 보내는 경우를 보고 이르신 말씀이다.

Posted by ingee
,

或問禘之說 혹문체지설
子曰 자왈
不知也 부지야
知其說者之於天下也 지기설자지어천하야
其如示諸斯乎 기여시저사호
指其掌 지기장

 

누군가 禘(체) 제사에 대한 설명을 요구했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모릅니다.
그에 대해 설명할 수 있는 사람이라면 천하를 대함이
이것을 들여다 보는 것과 같을 것입니다 (그처럼 쉬울 것입니다).
(그리고는) 손바닥을 가리키셨다.

 

2008.3.3.
3장 팔일에서는 제사의 의미와 법도, 제사에 사용되는 음악과 무용 등에 대한 이야기가 많다.
공자님 시대에는 제사가 우주와 인간을 이해하는 인식의 틀이었다고 한다. 당시의 문화가 만들어낸 지적 행위의 정수였을 것이다. 논어에 언급된 제사를 보면 헤르만헤세의 소설 '유리알 유희'가 연상된다.

 

2009.6.26.
이글을 옮기던 당시 헤르만헤세의 '유리알 유희'를 읽었다. 유명한 책이지만 제목만 알다 뒤늦게 읽었다. 책 읽은 표시를
내고 싶었다. 지금 보니 부끄럽다.

 

Posted by ingee
,

子曰 자왈
禘自旣灌而往者 체자기관이왕자
吾不欲觀之矣 오불욕관지의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禘(체) 제사에서 술잔을 땅에 부어 비운 이후의 절차를
나는 보고 싶지가 않다.

 

禘(체) 제사는 주나라의 국가적인 큰 행사였다.

중요한 제사가 진심 없이 치러지는 것에 대해 불만을 표시하신 것이다.

 

Posted by ingee
,

子曰 자왈
夏禮 吾能言之 하례 오능언지
杞不足徵也 기부족징야
殷禮 吾能言之 은례 오능언지
宋不足徵也 송부족징야
文獻 不足故也 문헌 부족고야
足則吾能徵 족즉오능징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하나라의 예(禮)에 대해서 내가 말할 수는 있다.
하지만 기나라에 이를 증명할만한 것이 충분히 남아있지 못하다.
은나라의 예(禮)에 대해서도 내가 말할 수는 있다.
하지만 송나라에 이를 증명할만한 것이 충분히 남아있지 못하다.
문헌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충분하기만 하다면 내가 (선대의 禮를) 증명할 수 있을 것이다.

 

2008.3.1.
기나라는 하나라의 후손이 이어 받은 나라다.
송나라는 은나라의 후손이 이어 받은 나라다.
고대 중국의 역사는 하나라를 거쳐 은나라(상나라)로, 그리고 주나라로 이어졌다.
고대 중국의 전쟁에는 나름의 낭만이 있어서, 나라의 씨를 말리지 않고 그 후손이 선대의 제사를 이어갈 수 있도록 배려해주었다.

 

2009. 12. 4.
그래서 주나라가 천하를 정복한 공자 당시에도 멸망한 나라의 후손들이 기나라와 송나라에 존재할 수 있었다.

 

Posted by ingee
,

논어 03편(팔일) 08장

논어 2008. 2. 29. 14:47

子夏問 자하문

巧笑倩兮 교소천혜

美目盼兮 미목반혜

素以爲絢兮 소이위현혜

何謂也 하위야

子曰 자왈

繪事後素 회사후소

禮後乎 예후호

子曰 자왈

起予者 商也 기여자 상야

始可與言詩已矣 시가여언시이의

 

자하가 물었다.

고운 미소 청초하네.

예쁜 눈 반짝이네.

소박한 색으로 현란하네.

이 시는 무엇을 말하는 것입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그림을 그리는 일은 흰 바탕을 만들고난 다음 일이라는 뜻이다.

이에 대답했다.

예절은 (마음가짐을 갖추고난) 다음 일이겠군요?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나를 일깨우는 자가 商(상, 자하의 이름)이구나.

이제 너와 함께 시를 이야기할 수 있겠다.

 

시를 좋아하는 스승으로부터
"함께 시를 이야기할 수 있겠다" 라는 이야기를 들은 제자는
무척 기뻤을 것이이다.

 

Posted by ingee
,

논어 03편(팔일) 07장

논어 2008. 2. 28. 01:17

子曰 자왈

君子 無所爭 군자 무소쟁

必也射乎 필야사호

揖讓而升 읍양이승

下而飮 하이음

其爭也君子 기쟁야군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는 다툼이 없다.

필시 있다면 활쏘기일 것이다.

서로 절하고 사양하면서 활쏘는 자리에 오르고,

(활을 쏘고) 내려와서는 같이 술을 마신다.

그렇게 다투는 것이 군자다.

Posted by ingee
,